blog kakao facebook youtube

커뮤니티

신화 장비 선택법!? 캐릭터별 신화 장비 선택순서와 기타 참고할만한 팁들
공지사항
신화 장비 선택법!? 캐릭터별 신화 장비 선택순서와 기타 참고할만한 팁들
칠판긁는소리
  • 2019.09.13
  • 89644

 

 

 

 

안녕하세요. 프로패셔널 길드에서 흑제를 메인 캐릭터로, 기타 여러 캐릭터들을 육성하고 있는 칠판긁는소리입니다.

 

 

이번에는 제목처럼 신화장비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글을 써 볼까 하는데요. 앞서 다른 분이 써 주신 양질의 공략의 내용과 다소 겹치게 되는데

 

초보분들 기준으로

 

'차원을 다 맞추고 신화 장비를 하나둘씩 얻었는데, 이거 언제 갈아타면 좋을까?'

 

'부분적으로 갈아타면 딜이 오히려 차원 5셋때보다도 더 떨어지는 것이 아닐까?'

 

와 같은 흔히 떠올릴법한 의문점들에 대한 길을 제시해 드리고자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악세서리, 무기와 함께 무엇보다 방어구 쪽에서는 다른 분의 글과 달리

 

방어구 3셋을 먼저 맞출 경우로 한정하여 글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즉 3셋부위인 머리, 상의, 하의와 2셋인 손, 발을 혼합하여 맞추거나

 

(예 : 머리 다음에 손을 맞추고 다음에 상의를 맞추는 등)

 

실질적인 딜량상승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뻥투력 목적의 2셋부터 먼저 맞추는 경우는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작성자가 항상 신화 방어구는 3셋부터 맞추는 성향이 있어서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본 글은 직업별로

 

1. 신화 악세서리와 신화 무기를 갈아탈 타이밍(전직업공통)

 

2. 다양한 특수옵션이 붙어 딜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는 머리, 상의, 하의 중 어떤 순서로 맞추어가면 좋을지

 

3. 오버클럭 및 신화장비 풀셋기준 전 직업 스킬트리(3월 작성판의 갱신판)

 

4. 1부위만 착용 시 차원장비 5셋(여기서는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스피리츄얼 5셋과 엘리멘탈 튜너 5셋 사용을 기준으로 합니다) 효과를 깨게 되더라도 

딜이 줄기는 커녕 오히려 늘 정도로 대격변급으로 탈바꿈하는 직업

2부위를 동시에 맞추었을 경우 5셋 딜량을 넘어서는 직업 

3부위를 한꺼번에 갈아타야 비로소 5셋의 효과보다 월등하게 앞서게 되는 직업

 

 

 

 

 

정도로 정리되겠습니다.

 

 

 

※ 개인 주관+제가 익숙하지 않은 직업을 메인 또는 핵심적으로 다루시는 다른 유저분들께 조언을 구한 결과로 객관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신화 악세서리와 신화 무기를 갈아탈 타이밍(전직업공통)



(1) 악세서리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바로 


차원문 파괴자의 결의(귀) 차원문 파괴자의 맹약(반지) 두 개가 모였을때 바로 갈아타면 됩니다.

 

만일 차원문 파괴자의 의지(목) 위 두 부위 중 하나와 함께 있을 경우에는 갈아타도 딜량상승을 크게 기대하기 힘듭니다. 

 

신화 목의 특옵을 보면 알겠지만 진화(오류)하기 전에는 상당히 별로거든요.

 

따라서 2셋효과를 받더라도 딜이 더 떨어지게 됩니다. 3셋 다 확보한 후 대강 또는 여유가 있다면 충분한 재감재평을 하는 것이 낫습니다. 

 

물론 100% 제작이 아닌 랜덤으로 운좋게 득한 경우에는 자주능 확보도 선필수.

 

 

 

 

(2) 무기

 

무기는 더 심플합니다. 얻는 즉시 차원무기 종류와 무관하게 바로 전승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화 수치와 무관하게 

 

일단 감정옵션을 하나 더 가져가게 되고

 

직업마다 다르나 아무리 후진 신화 무기라도 특옵이 대체로 좋으며

 

무엇보다 단순수치로 동일한 수치라면 깡 공격력부터가 차이가 넘사벽입니다.

 

 

간단하죠?

 

 

 

 

(3) 악세서리와 무기 중 반드시 무기를 먼저 맞추어야 할 직업

 

순수 또는 대부분 레이드 보상으로 좋은 운으로 득템을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제작을 통해 신화 장비를 맞추어 간다고 가정할 경우

 

총 20직업 중 많지는 않아도 다소 이견이 있을 수 있는 직업들보다

 

소제목처럼 무조건적으로 무기부터 가야 할 직업이 몇 있는데 바로

 

체술사성황, 그리고 흑제입니다.

 

각각 스킬들의 쿨타임 대폭감소, 천도범위 최대로 항시고정, 잔심 시 마옥생성의 이유로 

 

다른 직업들은 악세서리부터 가더라도 큰 무리가 없는 반면

 

위 셋은 필히 악세서리와 무기 둘 중 하나의 선택지가 주어졌을 경우

 

예외없이 꼭 무기부터 가는 것을 강추합니다.

 

 

 

 

 

 

2. 다양한 특수옵션이 붙어 딜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는 머리, 상의, 하의 중 어떤 순서로 맞추어가면 좋을지

 

 

<광전사> 


※ 가장 처음의 광전사부터 맨 마지막의 리나까지 순서는 아래의 이미지에서 머리, 상의, 하의 순으로 특옵이 표시됩니다.



 

 

광전사는 방어구 3셋 모두 버릴 것이 없는 알짜 옵션들을 보유한 대표적인 직업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은 빨갛게 밑줄친 상의의 레이지 크로스 발동이 어빌리티의 영향을 그대로 받아 딜량 누적에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대부분 보스 몬스터를 주시하기에 피해량 40% 증가 옵션도 굉장히 큽니다.

 

그 다음으로는 다소 보조적인 기능의 하의보다 블러디 로어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머리가 좋다고 봅니다. 따라서

 

 

방어구 파밍순서 : 상의-머리-하의

추천 어빌리티 : 매드 러시, 레이지 크로스, 인피니티 글레이브

 

 

 

스킬트리

 

 

엔들리스 레이지 대각인 3셋 기준입니다.

 

개인적으로 모션이 참 웃기나(?) 판정이 좋지 않고 DPS도 그닥인 다운폴을 취향상 마스터했는데(매번 사용할 때마다 왠지 모르게 웃음이 터져서ㄷㄷ)

 

다운폴을 버리는 경우는 동일한 쿨타임대비 토네이도 스매셔보다 더 좋은 드라이브 슬래셔에 투자하시면 좋습니다.

 

 

 

 

 

<폭마>

 

 

 

폭마는 역시 차원부터 이어지는 겁반의 쿨감이 가장 큽니다. 따라서 하의가 0순위임은 당연한 것이라고 한다면

 

나머지 둘 중에서는 개인적으로 5초라는 애매한 시간을 가진 머리보다는 차원까지는 애물단지였던 폭주를 가져갈 수 있는 상의가 낫다고 여깁니다. 정리하면

 

 

 

방어구 파밍순서 : 하의-상의-머리

추천 어빌리티 : 겁나반격, 비염축지타.개, 비천유성락 or 폭염패기





스킬트리 

 

 

언리미티드 블레이즈 대각인 3셋 기준입니다.

 

 

 

 

<마검사>




마검사는 곧 육도참살, 육도참살이 곧 마검이라고 할 수 있는 현 시점에서는 섬관광이 바로 마검의 아이덴티티입니다.

 

위에서는 포인트로 머리의 귀속잔영 발동을 핵심으로 잡았는데 사실 머리나 상의 둘 중 어느 것을 먼저 갈아타도 크게 무리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머리를 먼저 갈아탈 경우 섬관광 외에는 무용지물이던 차원까지와는 다르게 귀속잔영을 어빌리티로 투자할 시 그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고

 

상의는 상의 나름대로 받뎀증 효과를 가져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방어구 파밍순서 : 머리 or 상의-하의

추천 어빌리티 : 검.섬관광, 귀속잔영.윤, 천십자참.극 





스킬트리

 


육도참살 대각인 3셋 기준입니다.

 

 

 

 

 

<체술사>




세 대각인 모두 상황에 맞게 쓰이는 유일한 하이브리드형 캐릭터인 체술사입니다.

 

다른 두 부위인 상의와 하의는 기본적으로 딜링을 보조하는 버프/디버프형 스킬이라고 한다면 역시 핵심은 세 대각인 옵션을 전부 보유한 머리부위가 되겠지요.

 

다음으로는 단순 공격력을 포함한 스탯증가보다는 방깎 디버프가 얼마나 영향이 큰지를 감안한다면(대표적으로 신화 귀걸이) 상의를 추천합니다.

 

 

 

방어구 파밍순서 : 머리-상의-하의

추천 어빌리티 : 

냥☆무, 5냥살, 우냐우냐우냐~미야(냥무권)

비천삼각냥조, 광냥조, 파갑냥(한대냥)

특수기.냐광무, 파갑냥, 냥냥 스트라이크(또때냥) 






스킬트리

 

 

냥무권 대각인 3셋 기준입니다.

 

 

 

 

 

한대냥과 또때냥 대각인 3셋 기준입니다.

 

 

 

 

 

 

<암살자>

 

 

 

 

암살자는 사실 뒤이어 나올 몇몇 직업과 함께 고질적으로 문제가 많은 직업 중 하나입니다. 

 

그 중 특히 전 직업 통틀어 상호게이지를 가장 못 까는 직업에 두 손 안으로 꼽히기도 하고

 

보는 것처럼 방어구의 옵션이 특출나지도 않아 

 

말 그대로 암살자만이 가진 과다출혈을 의지삼아 운영을 꾸려나가는 실정입니다.

 

 

다시 이미지를 보면 옵션 중 어빌리티 중 하나를 차지하는 통나무 스킬의 쿨감과 관련된 머리가 가장 눈에 띕니다.

 

추가로 주능력까지 증가하므로 머리 부위를 1순위로 꼽을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쿨타임이 길고 지속시간에 비해 효율이 좋지 않은 스킬을 강화하는 상의보다는 디버프를 활용할 수 있는 하의가 낫겠지요.

 

 

 

 

 

방어구 파밍순서 : 머리-하의-상의

추천 어빌리티 : 통나무(은신), 블러디 쉐도우 엣지, 블랙 사이클론 블레이드 







스킬트리


대각인 폭진2셋+살진1셋 기준입니다.





<천랑주>

※ 여기서는 분.천랑 대각인을 위주로 다루며 신.합일 대각인은 작성자가 사용하지 않으므로 참고바랍니다.



​분.천랑에서의 키포인트는 하의의 시루스와 연관된 옵션입니다만 사실 천랑주도 잘 드러나지가 않아서 그렇지 특옵들이 대체로 눈에 확 띌만큼 좋은 편은 아닙니다.

신.합일 대각인 사용자라면(두 대각인 모두 상황에 맞게 모두 쓰이는 편입니다) 당장에 합일과 관련된 머리부터 갈 수도 있겠으나

공통점으로 스킬들의 쿨타임이 대체로 길거나(전격난무, 천녀뇌격)

많은 스킬포인트를 투자하지 않는다던가(추종랑격)

자주 활용되지는 않는(천녀뇌격) 등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방어구 파밍순서 : 하의-머리-상의
추천 어빌리티 : 
시루스 물어!, 시루스 백만볼트!, 뇌랑격(분.천랑)
가자 시루스!, 낙뢰번제, 시루스 내리쳐!(신.합일)





​스킬트리


분.천랑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





<그림자술사>



차원까지와는 다르게 신화 이후의 그림자술사의 가장 돋보이게 변화하는 점은 도플갱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머리의 옵션으로 인해 직관적인 도플갱어의 딜량이 두 배가 되며 이것은 머리를 가장 먼저 맞추는데 주저함이 없게 됩니다.

그 다음으로는 침혼장비처럼 특정 스킬들에 영향을 미치는 상의와

캐릭터 전체에게 적용되는 버프의 하의이냐인데

개인적으로는 대부분의 그림자술사들이 차원장비를 무기를 포함한 스피리츄얼 5셋을 가는 것을 고려한다면

한 번씩 더 추가로 사용가능했던 스킬들을 사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서(예 : 크라이젠 슈라크, 샤텐 크라츠 등)

이에 대한 딜의 공백을 새로이 메워주는 것이 게슈펜스트 쿠알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방어구 파밍순서 : 머리-상의-하의
추천 어빌리티 : 카노네 스툼빈드, 게슈펜스트 쿠알, 도플갱어




스킬트리

Gun's N Shadow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





<시공간술사>



바로 눈에 들어오는 옵션으로 하의의 관문발동이 있습니다. 

즉 대각인과 무관하게 하의 하나만 가져가게 되도 딜량 자체가 차원이 달라진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초극이 추가된 이후 더 좋아졌으면 좋아졌지 나빠지진 않았으니

그 이상은 강조할 필요조차 없겠지요.

그럼 남은 것은 머리와 상의인데

본인이 아카식 대각인 위주로 활용한다면 머리를

어빌리티까지 투자하게 되는 차원왜곡포 옵션이 부가된 상의는 이벤트 호라이즌 대각인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따라서





방어구 파밍순서 : 
하의-머리-상의(아카식)
하의-상의-머리(이벤트 호라이즌)
추천 어빌리티 : 
시공포 연쇄 생성, 연쇄시공변환탄, 존재소멸(아카식)
시공포 연쇄 생성, 연쇄시공변환탄, 차원왜곡포(이벤트 호라이즌)




​스킬트리


아카식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

어빌리티를 기존까지 투자했던 오류수정자가 초극이 추가되면서 비중이 낮아진고로

오류수정자를 굳이 마스터하지 않고 관문 및 기타 다른 스킬에 투자해 주시는것도 좋습니다.



이벤트 호라이즌에 관한 정보는 Diemstar님의 글을 참고 해 주세요.





<냉기술사>

※ 셋 모두 두루 쓰이나 가장 보편적인 위더링 하이즈 대각인을 중심으로 기술합니다.




결빙이라는 패턴을 십어먹는 큰 디버프에 가려져 있어서 간과하기 쉽지만

냉기술사는 의외로 방어구의 개편이 필요한 직업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머리옵션은 차치하고라도 상의는 단 15초만 발동되는 스킬로 실질적인 쿨타임이 45초나 되는 마력수련에의 시너지가 좋지는 않습니다.

하의 또한 중첩 횟수가 아닌 냉기 또는 모든 공격유형 저항감소라면 모를까

서리의 중첩 횟수를 단순히 늘리는 옵션만 달랑 있다는 것은

지금까지 소개된 캐릭터들의 특옵 중 가장 하위가 아닐까 싶을 만큼 Useless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리하면 쿨타임과 무관하게 바로 효과를 볼 수 있는 머리를 먼저 확보한 후 다음으로 상의, 하의순이 이상적이라고 보여집니다.



방어구 파밍순서 : 머리-상의-하의
추천 어빌리티 : 얼음 소나기, 얼음 가시, 눈보라 폭풍




스킬트리


위더링 하이즈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








<뇌쇄나찰>



앞서 소개된 광전사와 함께 기본적으로도 나쁘지 않은 캐릭터 자체의 성능에 추가로

빼어난 대각인 옵션으로 인하여 상위 티어에 자리하고 있는 뇌쇄나찰입니다.

신화부터는 역시 쿨타임이 5초가 되는 꿇어! 스킬의 영향으로 머리를 제일 먼저 가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다음으로 상의냐 하의냐인데 강력한 기존 딜에 짤딜로 넣는 흥분되는걸? 스킬을 위주로 가고자 한다면 상의를

EX 이제부터 놀아줄게로 안정적으로 게임을 풀어나가고 싶다면 하의를 가면 되는데

이것은 취향따라 갈린다고 생각합니다. 굳이 하의를 먼저 안 따고 상의를 간다고 하더라도

EX물약으로 커버가 가능하니까요.




방어구 파밍순서 : 머리-상의 or 하의
추천 어빌리티 : 꿇어!, 처형이야!, 나에게 안겨 or 흥분되는걸?





​스킬트리


게인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





<혈요화>



혈요화는 두 부위나 눈에 잘 띄는 옵션이 있습니다. 

초극 전과 후가 확연히 로젠 크라운 스킬 하나로 차이나게 되는데 이를 보강하는 상의와

다단히트기 위주로 풀어나가는 혈요화가 순간적으로 큰 딜을 가할 수 있는 하의입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최우선순위는 하의가 아닌 상의가 되지요.

만개하는 파멸이 아무리 강하더라도 대각인 옵션에 딸린 보조기의 역할 정도고

실제로는 평타와 파멸의 가시, 그리고 직후의 방출기로 이어지니는 것이 일반적이니까요.

만개하는 파멸은 여기에 포함되는 부분집합에 지나지 않습니다. 물론 비중은 상당히 크지만요



방어구 파밍순서 : 상의-하의-머리
추천 어빌리티 : 파멸의 가시, 만개하는 파멸, 혈기폭풍





​스킬트리


선혈의 론도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






<에클레어>



금번의 개편으로 성능상 하위권에 지나지 않았던 에클레어가 상향되었는데요.

그 중에서도 핵심적인 특옵은 단연 머리의 블레이드 댄스가 되겠습니다.

추가로 대각인이 개편되면서 엑스트라 슬래쉬와 (사용자에 한하여)블레이드 트리거의 역할도 커지게 되었습니다.

에클레어는 특이하게 세 부위별로 각각의 대각인을 반영한 듯한 옵션들로 분할되어 있는데

이는 다르게 말하면 그만큼 따로따로 놀다보니 시너지를 발휘하기 어렵다는 의미와도 통합니다.

그나마 트리거를 함께 활용한다면 머리와 하의가 상호 호환된다고 볼 수 있겠네요.




방어구 파밍순서 : 머리-하의-상의
추천 어빌리티 : 블레이드 댄스, 엑스트라 슬래쉬, 블레이드 트리거 or 리볼브 펄션




스킬트리


​소드 마스터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





<크리에이터>



나중에도 설명하겠지만 이전의 시공간술사와 크리에이터는 서로 한 통속입니다(?).

상의의 밑줄친 두 옵션으로 인해 차원때와 달리 신화부터는 대각인의 변경이 필요하지만

크리에이터는 아예 다른 캐릭이 된다고 해도 좋을만큼 비약적으로 딜량이 상승하게 됩니다.

다음으로는 머리와 하의 중 캐릭터 전체를 강화하는 느낌이라면 머리를

본인이 추적폭탄을 자주 사용하면서 이를 특화시키고 싶다면 하의부터 맞추는게 좋은데

개인적으로는 머리부터 가는 편입니다.





방어구 파밍순서 : 상의-머리-하의
추천 어빌리티 : 박격포, 다련장 로켓 런처, 바주카






​스킬트리


3M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






<엘리멘탈 페어리>



비록 일차적으로 크리에이터와 함께 개편되었다고는 하나

아직 신화 방어구와 무기 옵션부터 해서 갈 길이 먼 엘리멘탈 페어리.

특별히 강조한 부분이 없는 것도 다르게 말하면 그만큼 더 개편이 대대적으로 필요하다는 말과도 같습니다.

보편적으로 선택하는 대각인을 기준으로 한다면

​예전부터 쭉 이어져 온 핵심 0순위 스킬인 암흑물질이 있는 하의부터, 그리고 상의와 머리 순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방어구 파밍순서 : 하의-상의-머리
추천 어빌리티 : 암흑 물질, 회전 불꽃, 화산 대폭발





스킬트리


Fire Emblem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






<헤일로 메이지>



캐릭터의 성능 자체는 볼품없지만 이를 대각인으로 극복한 것도 모자라 다른 캐릭터들을 아득히 뛰어넘어 버린 헤일로 메이지는 사실 신화무기의 특옵 하나만 별로일 뿐으로

방어구들의 옵션은 상당히 괜찮은 편에 속합니다. 광전사와 함께 버릴 부분이 거의 없는 편이지요.

그 중에서도 핵심 중 핵심은 역시 하의의 엔젤캐논 관련 옵션입니다.

다음은 쿨타임 감소라는 중요한 옵션을 포함한 상의, 그리고 보조효과의 머리가 되겠네요.






방어구 파밍순서 : 하의-상의-머리
추천 어빌리티 : 엔젤 캐논, 스파클 밤, 네메시스 체인






스킬트리


광휘의 축복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







<성황>



성황은 차원까지와의 플레이와 신화 이후의 플레이가 거의 180도는 다른 유일한 직업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어빌리티까지 변화하며 아예 새로운 캐릭터를 하는 듯한 느낌을 주게 될 정도였습니다.

위대로라면 맞추는 것은 상의와 하의는 효과가 유사한지라 아예 머리부터 가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즉 상의와 하의는 함께 움직인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방어구 파밍순서 : 머리-상의 or 하의
추천 어빌리티 : 꼬리별, 아스라이, 안다미로






스킬트리


길라잡이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







<흑제>



흑제는 기본적인 캐릭터의 성능도 성능이거니와 신화 방어구도 거의 역대급으로 잘 빠진 직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본캐여서가 아니라 안 키우는 사람이 봐도 이건 엄청나다 싶을만큼 좋은 옵션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 중에서도 베스트 오브 베스트는 하의의 잔심 뎀증으로

앞서 소개된 시공간술사 하의, 크리에이터 상의와 맥락을 같이합니다.

다음으로는 어디로 보나 머리 마지막으로 상의가 정석입니다.





방어구 파밍순서 : 하의-머리-상의
추천 어빌리티 : 잔심, 돌진찍기, 철산고 or 신속권






스킬트리


잔심의 권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








<스팀워커>



사견으로는 암살자보다도, 냉기술사보다도, 그리고 그 개편된 엘리멘탈 페어리보다도 가장 최악의 신화 방어구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머리 옵션으로는 최소 5초에 한 번 꼴로 리버스 대쉬로 거리를 벌리는 수고로움을 감내해야 하며

오버히트, 쿨다운 그 어떤 모드라도 크게 의미가 없는 상의 옵션

그리고 왜 크뎀은 감소하면서 데미지는 증가하는 건지 이해가 되지 않는 하의 옵션

뭐 하나 빠짐없이 하자가 충만하다고 여겨집니다. 따라서 그나마 활용가능한 머리부터 한 후 어찌됐건 수치상으로 늘어나는 하의, 다음이 상의로 택하는 것이 방법이겠습니다.





방어구 파밍순서 : 머리-하의-상의
추천 어빌리티 : 
바디 아발란체, 트위스트 스매쉬, 어스퀘이크(오버히트 모드, 벨러스트 2셋+포메이션 랩 1셋)
트위스트 스매쉬, 레디 셋 고!, 슈퍼소닉 어택(쿨다운 모드, 포메이션 랩 3셋)





스킬트리


벨러스트 2셋+포메이션 랩 1셋 대각인 기준입니다(오버히트 모드 시)







포메이션 랩 대각인 3세트 기준입니다(쿨다운 모드 시)






<홍령>



보조적인 느낌의 하의를 맨 나중으로 했을 때 머리와 상의는

각각 모든 스킬구축살 특화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즉 본인 성향에 따라

구축살을 포함하여 다른 핵심스킬들인 강령살, 속사, 기타 스킬들까지 아우른다면 머리부터

어떻게 됐든 딜량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구축살을 특화시키고 싶다면 상의를 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방어구 파밍순서 : 머리 or 상의-하의
추천 어빌리티 : 구축살, 강령살, 속사





스킬트리


탄력만당 3세트 대각인 기준입니다.






<리나>



리나는 비교적 가장 최근에 나온 신캐인만큼 저를 포함한 여러 다른 분들의 공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편입니다. 

그래서인만큼 의견이 상당히 많이들 갈리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저같은 경우는 신화 무기에도 달린 호라이즌을 더욱 강화시키고자 하의를

그리고 그 다음은 비록 자주 사용하진 못하지만 5초간 참격 저항을 무려 150이나 감소시키면서 부가적으로 딜링도 가능한 플뢰레를 위시하여 상의를 맞추었고

현재는 남은 머리부위 획득을 위해 플레이 중입니다.

만일 큰 한방스킬인 오버 데들리 슬래쉬와 오버 플뢰레 피어스를 통해

짧은 시간내에의 폭딜을 고려한다면 상의부터 맞추는 선택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머리부위의 자이언트 훅 히트 스킬의 쿨감과 나머지 옵션들도 아주 뒤떨어지는건 아니라고 봅니다만

아무래도 블레이즈 스트라이크 히트의 막타에만 적용이 되는데다

이 스킬 자체가 의자캔슬도 애매한지라 머리는 처음으로 맞추기에는 다소 꺼려지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방어구 파밍순서 : 상의 or 하의-머리
추천 어빌리티 : 
호라이즌 슬래쉬, 플립 히트, 자이언트 훅 히트(일반 기준)
호라이즌 슬래쉬, 오버 데들리 슬래쉬, 오버 플뢰레 피어스(폭딜이 요구되는 경우)





스킬트리









4. 

(1) 1부위만 착용 시 차원장비 5셋(여기서는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스피리츄얼 5셋과 엘리멘탈 튜너 5셋 사용을 기준으로 합니다) 효과를 깨게 되더라도 
딜이 줄기는 커녕 오히려 늘 정도로 대격변급으로 탈바꿈하는 직업


지금까지의 설명을 토대로 한다면

시공간술사(하의), 크리에이터(상의), 흑제(하의)가 되겠습니다.


(2) 3부위를 한꺼번에 갈아타야 비로소 5셋의 효과보다 월등하게 앞서게 되는 직업

대체로 특옵들이 그렇게 좋지 않았던 직업들이 여기에 속합니다(대각인만 개편되었음에도 티어가 확 올라간 예외적인 직업같은 경우도 있습니다)


즉 개편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캐릭터들로

암살자, 천랑주, 냉기술사, 혈요화, ​엘리멘탈 페어리, 성황, 스팀워커​로 정리가 가능하겠습니다.


(3) 2부위를 동시에 맞추었을 경우 5셋 딜량을 넘어서는 직업

 

(1)과 (2)에서 언급되지 않은 나머지 직업들이 해당됩니다.

 

 

 

 

 

※ 개편 관련으로 언급된 사항들은 모두 신화 방어구의 특옵에 한정되는 내용입니다.

 

대각인과 기타 다른 사항들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 스킬트리에서 특정 스킬들에 파란색 글씨로 표기되어 있는 항목은 스피리츄얼 세트에 의한 효과(머리, 상의 해 진화)이므로 이 점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 다음으로는 이벤트 참여용의 본 공략과는 별개로 뒤이어

차후 대각인 추가로 더 좋아지게 될 리나의 신화 방어구 착용기준 딜 사이클 돌리는 방법(영상첨부)과

오버히트 모드로 인한 현자타임을 극복가능한 대체법, 쿨 다운모드 스팀워커(영상첨부)에 대한 공략을 한데 묶어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쓰기 0/1000

댓글 [10]

한유나 2020.09.15

칠판님~체술 스킬중에 반달차기? 맨 왼쪽에 있는 스킬 있잖아요?? 그거 왜 마스터 주신거에요??
데미지가 좋나요?? 아님 짤짤이용인가요??? 궁금해서요...제가 요즘 복귀했는데 뭐가 뭔지를 몰라서요..

답글
한유나 2020.09.15

칠판님~분천랑에서 뇌륜주박은 찍는게 나은가여 아님 안찍는게 나은가여???? 진심 궁금해서..

답글
시간을멈추는자 2019.10.05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
칠판긁는소리 2019.10.21

늦게나마 감사표시 전합니다

Type님프 2019.09.13

굿굿! 직업별 스킬트리 저도 좀 따라할게요 칠판님!두둥. 추석연휴 잘보내세요

답글
칠판긁는소리 2019.09.13

감사합니다. 이번 명절은 대체로 짧은 편이니 푸욱 쉬세유

아 그리고 제가 냉기술사 스킬트리를 잘못 찍어서 그러는데 내일 수정본으로 교체할 예정이니 이 점 참고 해 주세요. 혈요화도 지금 일부러 저렇게 찍었던가 긴가민가해서 확인해봐야 되고요ㅜ

라그나파르 2019.09.13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리나 영상 만들고 싶었는데 똥손을 보게 될 사람들의 눈이 염려되서 도저히 할수가 없더라구요 ㅋㅋㅋ 칠판님 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답글
칠판긁는소리 2019.09.13

감사합니다. 허나 대충 구상은 끝냈는데 언제 올라갈지는 미정입니다(?)

라그나파르 2019.09.24

베스트 축하드립니다~~ 소문에 이번주 영상올리신다고 들었는데 올리시면 꼭볼게여 ㅋㅋㅋ

칠판긁는소리 2019.09.24

어... 요즘 비지한 관계로 올라갈수도 있고 몬올라갈수도 있습니다!

근데 특별한거 없기는 해요. 제일 제 현재 스펙으로 안정적으로 상세한 과정까지 보여가며 딜링가능한 스테이지가 영첼의 2-1정도라서(700만대. 2-1 보쓰는 딜타임때 포지션이 붙박이 고정형이라) 여기를 아마 찍지 않을까 합니다. 스팀도 그럴거고요

댓글 쓰기 0/1000
취소